Elasticsearch

[Elasticsearch] 02. Elasticsearch 사용하기 (with nori)

hyun_ji 2023. 7. 25. 18:10
반응형
SMALL

ElasticSearch 를 사용해보겠습니다.

 

1. 엘라스틱 서치 설치 및 실행

우선 엘라스틱 서치를 설치해야 합니다.

저는 m1 이라 brew 로 설치했습니다.

$ brew tap elastic/tap
$ brew install elasticsearch-full
$ brew services start elastic/tap/elasticsearch-full

http://localhost:9200 브라우저로 들어가보면

{
  "name" : "",
  "cluster_name" : "",
  "cluster_uuid" : "",
  "version" : {
    "number" : "7.17.4",
    "build_flavor" : "default",
    "build_type" : "tar",
    "build_hash" : "79878662c54c886ae89206c685d9f1051a9d6411",
    "build_date" : "2022-05-18T18:04:20.964345128Z",
    "build_snapshot" : false,
    "lucene_version" : "8.11.1",
    "minimum_wire_compatibility_version" : "6.8.0",
    "minimum_index_compatibility_version" : "6.0.0-beta1"
  },
  "tagline" : "You Know, for Search"
}

이런 내용이 나오면 성공입니다.

 

2. 키바나 설치 및 실행

키바나도 설치합니다.

키바나는 엘라스틱서치의 데이터를 시각화한 대시보드입니다.

$ brew tap elastic/tap
$ brew install kibana-full
$ brew services start elastic/tap/kibana-full

http://localhost:5601 로 접속했을 시,

이런 화면이 나오면 성공입니다.

 

3. 노리형태소 분석기 설치 및 연동

이제 노리형태소 분석기를 붙일 겁니다.

영어 기준으로 엘라스틱 서치를 이용하면 형태소가 분리되어 검색이 원활이 되지만,

한글로 이용하면 형태소 분석이 지원되지 않는 이슈가 있어 노리 형태소 분석기를 사용합니다.

 

노리형태소 분석기는 내부에서 설치하라고 나와있기때문에 엘라스틱서치안에서 설치할겁니다.

저는 m1 이기에 아래 경로에 엘라스틱 서치가 있습니다. 

$ cd /opt/homebrew/opt/elasticsearch-full
$ sudo ./bin/elasticsearch-plugin install analysis-nori

설치가 정상적으로 됐다면, 이제 노리가 적용된 엘라스틱 서치 인덱스를 만들겁니다.

 

엘라스틱 서치는 RESTful 검색 및 분석 엔진이라고 공식문서에 나와있죠?

그럼 api 요청을 날려서 인덱스를 만들면 되는데 설정을 노리에 맞게 세팅하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인덱스가 정상적으로 생성된 것이고,

이 인덱스는 이제 노리형태소 분석기가 적용되어 검색이 가능해집니다.

 

다음 차수에서 디비와 연동하며, 데이터를 넣고빼며 실제로 검색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반응형
LIST